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이해하고 점검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 가운데 시간관리(time management) 전략을 알아두고 그대로 시행하면, 공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곧바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을 즐길 수 있는 여유까지 가질 수 있다.
자신에게 딱 맞는 시간관리 전략을 찾기 위해서는 때로는 약간의 시행착오도 필요하지만, 다음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전략을 실제로 적용해 보라. 시행착오로 인한 패배감이나 시간 허비 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 때 들인 좋은 습관이 평생 지속된다.
1. 대학을 직장처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학생의 본분을 충실하게 수행한다. 아침 9시까지 등교해서 저녁 6시까지 학교에 있자(어떤 학생들은 캠퍼스에 계속 남아 있으려고 제일 빠른 수업과 늦은 수업을 같이 수강하기도 한다). 아르바이트나 사소한 집안 행사 등은 저녁 시간이나 주말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저녁 시간이나 주말에도 공부를 해야 할 경우도 생기겠지만 대부분의 공부는 가급적이면 주중 9시에서 6시 사이에 하도록 한다.
2. 한주 시간표 활용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 습관을 고려하여 한 주를 계획하는 시간표를 만들고 이를 활용한다. 시험과 리포트 제출 날짜가 모두 기록되어 있는 해당 학기 달력과 일주일의 시간표도 작성하여 책상 위에 붙여둔다. 이 때 각 수강 과목별 시간대를 표시하는 형식을 이용해도 좋고, 단순히 그 주에 ‘해야 할’ 학습 과제를 약 1시간 분량으로 나누어서 기입해 두는 형식을 이용해도 좋다. 메모지에 그날 그날 해야 할 일을 목록으로 만들어 적어둘 수도 있다. 이 때 가장 나중에 해야 할 일은 그 다음날의 목록에 만드는 것이다.
3. 큰일을 작고 세부적인 과제로 쪼개기 리포트를 오늘 안에 다 써야 한다는 생각으로 꾸물거리기보다는 리포트 작성에 필요한 논문 세 편을 찾아 복사하겠다는 식의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4. 짧은 시간 활용 통학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있을 때는 비교적 쉬운 책을 읽거나 강의 테이프 정도는 들을 수 있다.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동안에 생긴 휴식 시간에는 수학 문제를 풀거나 외국어 공부를 위한 계획표를 작성할 수 있다
5. 예습을 위한 독서 수업 시작 후 첫 1주일 동안, 앞으로 2주일 동안 배울 것에 대비해서 독서를 해 둔다. 이런 식으로 ‘따로 준비하는 일주일’을 보내면 학기 중에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가 일어났을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다.
6. 어려운 (혹은 지루한) 과목을 먼저 공부하기 화학 문제만 보면 잠이 오는 학생이라면 맑은 정신일 때 화학 공부를 먼저 하도록 하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먼저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과목일수록 가장 창조적인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제일 어려운 과목의 숙제를 제일 먼저 하고 좋아하는 과목은 아껴두었다가 나중에 할 것!
7. 목록 만들기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기억해야 할 것, 공부를 방해하는 걱정거리들을 기록해 보자. ‘해야 할’ 목록을 만들어서 가까이에 두고, 목록을 만든 뒤에는 반드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가장 중요한 과제를 먼저 하도록 한다. 반드시 끝마쳐야 하는 중요한 과목이나 과제를 위해 해야 할 일은 주간별로 목록을 만들어 둔다.
8. 집중력에 도움이 되는 공부 장소와 시간 찾기 공부하기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고 집중력이 최고로 발휘되는 ‘황금 시간대’에 공부하도록 한다. 학생들마다 편차는 있겠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는 낮에 1시간 공부하는 것이 저녁 때 1시간 반 공부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라고 한다.
9. 공부를 방해하는 유혹거리 제거하기 공부를 방해하는 유혹거리가 계속해서 발생하게 놔두지 말고 미연에 방지한다. 유혹거리에 계속 노출되면서 이를 억지로 참다 보면 녹초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유혹을 야기할 수 있는 것들을 사전에 제거하자. TV를 켜기 전에 반드시 그 날 해야 할 과제를 끝마친다든지, 공부할 때는 전화기 전원을 꺼둔다든지, 방문 밖에 ‘방해하지 마세요’와 같은 팻말을 걸어둔다.
10. 당장 실행하기 꾸물거리고 있다는 생각이 들자마자 과제에 바로 착수한다. 시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도서관에 가서 딱 15분만 책을 읽자고 스스로를 유인해 본다. 일단 한번 시작하면 대개는 도서관에 계속해서 가게 될 것이다.
* 집중(Concentration)을 위하여 * 집중은 시간의 흐름을 의식하지 못한 채(못할 만큼) 자신이 하는 일에 몰입되어 있을 때를 말한다. 집중력을 꾸준히 유지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의 길이는 자신의 열정, 기술, 감정적 ․ 신체적 상태, 주변 환경에 달려있다. 집중력 향상을 전략을 소개한다.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